오피니언 총 45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정윤희의 문화산책] AI시대의 사유하는 독서
글/ 정윤희 (책문화생태학자, 문화평론가)AI시대의 독서는 ‘얼마나 많은 책을 읽었느냐’가 중요하지 않다. 책이라는 물성에 담긴 텍스트를 내 생각과 말, 습관으로 바꾸는 일, 즉 독서를 통한 체화가 핵심이다.세네카가 루킬리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non refert, quam multos, sed quam bonos habeas”라고 썼는데, 즉 얼마나 많이가 아니라 얼마나 ‘좋은’ 책을 읽었는지가 독서의 핵심이다. 여기에서 “좋음”은 평판이 아니라 적합성이다. 내 삶의 쟁점과 맞부딪히고 서로 다른 관점이 충돌하며, 시간이 지나도
출판저널 편집부11-14 12:22 -
[정윤희의 문화산책] 문체부 산하 단체의 ‘민주주의 개혁’
글/ 정윤희 (책문화생태학자, 문화평론가)오늘(11월 11일) 오전 대통령 국무회의 생중계를 보며 문화정책의 구조 변화를 위한 중요한 장면을 지켜보았다.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업무보고에서 체육단체 혁신 방안이 제기되었고,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체육회장 연임 제한과 온라인 투표제 도입 등 구조 개편의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다.정부는 대한체육회장 임기를 1회 연임까지만 허용하고, 소수 선거인단 중심 간선제를 회원 참여 직선제로 전환하며,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도입하는 정관 개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종신 회장’과 폐쇄적 카르텔 구
출판저널 편집부11-11 13:04 -
[정윤희의 문화산책] 문화강국 부흥을 위한 문화민주주의
글/ 정윤희 (책문화생태학자, 문화평론가)진정한 문화강국 부흥을 위해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사회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문화적 권리와 경험의 질로 잘 이어지고 있는가, 소수의 성공 서사와 산업 수치로만 소비되고 있는가이다.문화강국은 승자의 스토리를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에 접근하고 창작하고 향유할 권리가 사회 전반에 촘촘히 보장된 나라다. 이것이 바로 문화민주주의의 핵심이다.문화민주주의는 ‘문화예술을 더 많이 즐기게 하자’는 수준을 넘어, 누가 말하고, 누가 기록하고, 누가 대표되는가의 문제를 정치·경제·사회 구조와 함
출판저널 편집부11-10 12:18 -
[정윤희의 문화산책]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가 남긴 유산, 책문화를 통해 사회를 재생시키는 길
글/ 정윤희 (책문화생태학자, 문화평론가)미국 독립 250주년을 앞두고 미국의 대표적 자선재단인 카네기뉴욕공사(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는 전국의 카네기 도서관 수백 곳에 각각 1만 달러(약 1,400만 원)를 기부하기로 발표했다.2025년 10월 23일자 재단 공식 보도자료 'Hundreds of Carnegie Libraries to Receive $10,000 Gifts in Celebration of United States’ 250th Anniversary'를 통해 공개된 내용으로, 미국
출판저널 편집부10-28 12:32 -
[정윤희의 문화산책] 2025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조엘 모키르의 ‘성장의 문화’
글/ 정윤희 (문화평론가, 책문화생태학자)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0월 13일(현지시간) 조엘 모키르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수, 필립 아기옹 프랑스 인시아드 및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 피터 호위트 미국 브라운 대학교 교수가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고 발표했다.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3명의 경제학자들은 ‘혁신 주도형 경제성장을 설명한 공로’로 선정됐다.조엘 모키르 교수는 기술 발전을 통한 지속적 성장의 전제조건을 규명했고, 필립 아기옹 교수와 피터 호위트 교수는 창조적 파괴를 통한 지속성장 이론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
출판저널 편집부10-23 12:28 -
[김민주의 테마별 책읽기 3] 급진개화파 김옥균의 삼일천하 갑신정변
글/ 김민주 (도시탐험가)우리는 때때로 ‘삼일천하(三日天下)’라는 말을 사용하곤 한다. 쿠데타(Coup d'État)를 일으켜 겨우 사흘 동안 정권을 움켜쥐었다가 허무하게 내놓는다는 것. 1884년 김옥균을 비롯한 급진개화파가 일으켰다가 사흘 만에 실패한 갑신정변이 대표적이다.필자는 서울에 남아 있는 갑신정변의 흔적을 찾아 다녔고, 다섯 차례에 걸쳐 여러 그룹을 이끌고 역사 투어를 진행한 바 있다.세계 역사에서 여기저기 벌어졌던 삼일천하자료를 뒤져보면 삼일천하 사례는 심심찮게 나온다. 일본의 경우 임진왜란 발발 10년 전인 1582
출판저널 편집부10-16 14:45 -
[정윤희의 문화산책] 노벨문학상 라슬로 크라스나호르카이의 대표작 '사탄탱고'
글/ 정윤희 (문화평론가, 책문화생태학자)2025년 노벨문학상의 영예는 헝가리의 작가 라슬로 크라스나호르카이(László Krasznahorkai, 1954년 출생)에게 돌아갔다.노벨위원회는 라슬로 크라스나호르카이를 “종말의 공포 속에서도 예술의 힘을 증언한 비전의 작가(for his compelling and visionary oeuvre that, in the midst of apocalyptic terror, reaffirms the power of art)”라고 평했다.그는 헝가리 최초로 2015년 맨부커 인터내셔널 부문 수
출판저널 편집부10-13 14:52 -
[김민주의 테마별 책읽기 2] 광화문과 앞길의 630년 변천
글 / 김민주 (도시탐험가)광화문광장의 새로운 모습2022년 8월 광화문광장이 확장된 모습을 드러냈다. 2008년에 광화문광장이 세종대로 가운데에 조성된 지 14년만이다. 중앙의 광장을 사이에 두고 자동차들이 양쪽으로 쌩쌩 달렸는데 이제는 광장의 서편이 세종문화회관 쪽과 연결되어 행인들의 접근성과 쾌적성이 훨씬 나아졌다. 제대로 된 광장(廣場; plaza, square, piazza) 느낌이다.이번에 재개장한 광화문광장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27개국 외국인 869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에 서울관광재단이 만족도를 조사했더니 98
출판저널 편집부10-02 14:54 -
[정윤희의 문화산책] 도서관은 K컬처를 빛나게 하는 문화 자본이다
글 / 정윤희 (책문화생태학자, 문화평론가)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지식문화 인프라이자 세계 속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을 확산시키는 K컬처의 거점이다. 건축적 공간미와 문화적 상징성은 하드 파워를 보여주고, 도서관에서 시행하는 독서활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은 소프트 파워를 만들어낸다.문화강국의 토대는 책문화의 풍요로움에서 비롯된다. 책문화는 쉽게 말해 말하고 쓰고 읽는 행위에서 출발한다. 문자 언어는 케이팝의 노랫말이 되고, 영화의 시나리오가 되고, 드라마의 대사가 된다. 이처럼 K컬처의 뿌리에는 책문화가 놓여 있기에, 정부가 도
출판저널 편집부09-29 11:29 -
[김민주의 테마별 책읽기 1 ] 청와대의 역사와 공간
글/ 김민주 (리드앤리더 대표, 도시탐험가)2022년 5월 청와대가 전격 개방되었다. 이전에는 TV 뉴스에서 청와대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었으나, 이제는 온라인으로 간단히 예약만 하면 청와대에 들어갈 수 있다. 더구나 65세 이상이면 청와대 입구에서 주민증만 보여주면 입장이 가능하다. 개방 초기에는 사람들이 쇄도하여 관람하기 힘들었지만 1년 반이 지난 지금(이 글을 쓴 시점은 2023년 10월임), 청와대 공간은 다소 진정되어 차분하게 구경하기에 좋아졌다. 하지만 아직도 지방에서 전세 버스를 타고 단체로 구경 오는 사람들은 여전하다
출판저널 편집부09-19 14:15 -
[정윤희의 책문화생태론] 문화민주주의 실천을 위한 문화정책 설계와 추진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책문화생태학자)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6년도 예산은 약 7조 7,96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했다.콘텐츠산업은 1조 6,103억 원으로 26.5% 늘었고, 문화예술 향유 확대 및 예술창작·복지 강화는 2조 6,388억 원으로 2,564억 원 증가했다.관광은 1조 4,740억 원으로 9.4% 늘었고, 체육은 1조 6,795억 원으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예산 확대 자체는 고무적이지만, 중요한 것은 이 자원이 어디에, 어떻게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쓰이느냐에 있다.문화정책이 문화산업
출판저널 편집부09-12 17:12 -
[김민주의 테마별 책읽기] 용산의 땅과 역사
글 / 김민주 (도시탐험가, 리드앤리더 대표)필자는 서울 용산에 거주하면서 용산의 이모저모 구석구석을 열심히 돌아다니며 테마 길을 여럿 개발하기도 하였다. 이전까지만 해도 역사성이 많지 않은 다른 구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살았는데 역사성이 넘치는 용산구로 이사 오면서 필자가 사는 지역의 역사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용산 땅에 얽힌 역사를 훑어보기로 하자.1. 풍수지리로 보는 용산- 서울의 외사산, 내사산, 그리고 용산의 산 네 개풍수지리에 의하면, 서울의 진산(鎭山)은 북한산이다. 북한산은
출판저널 편집부09-10 14:48 -
[정윤희의 책문화생태론] 학교도서관...순회사서제도 반대한다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학 박사)더불어민주당 김병기 국회의원이 2025년 9월 1일 ‘학교도서관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 법안에 교사 출신 백승아 의원 등 11명이 공동 발의했다.발의안의 제안 사유는 이렇다.“예산부족 등의 사유로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 부족 문제는 계속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디지털 전문성을 갖춘 사서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음. 이에 교육지원청마다 디지털 역량을 갖춘 사서를 두고 관할구역 내 학교도서관을 순회하면서 자료관리, 업무 협력 등을 하
출판저널 편집부09-06 21:37 -
[정윤희의 책문화생태론] 도서관 환경 조성과 책문화생태계의 지속가능성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화평론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5월 15일 발표한 ‘2025년 전국 공공도서관 통계조사(2024년 실적 기준)’를 발표는데,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의 생활밀착형 문화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2024년 말 기준 전국 공공도서관은 총 1,296개로 전년보다 2% 늘었으며, 1관당 봉사 대상 인구는 39,519명으로 역대 처음 4만 명 이하로 떨어졌다.이는 도서관 인프라 확충 정책이 이용자의 생활권에 실질적으로 다가가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도서관 접근성이 높아질수록 시민들의 문화적 권리
출판저널 편집부08-29 11:52 -
[정윤희의 책으로 세상읽기] 한미정상회담을 성공으로 이끈 이재명 대통령의 독서리더십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화평론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25일(현지시간) 12시 15분(한국 시간 26일 새벽 1시 15분), 트럼프 대통령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밤잠을 설치면서 시청한 한미정상회담 생중계는 시종일관 흥미진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과 설전을 벌인 장면들이 있기에 트럼프의 특유한 성격이 또 나오지 않을까 살짝 염려도 했으나 기우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와의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끌어가는 장면을 보면서 쉽지 않은 인물 트럼프 대
출판저널 편집부08-27 10:30 -
[정윤희의 책문화생태론]노란봉투법, 8월 24일 국회 통과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화평론가) '노란봉투법'이라고 불리는「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노란봉투법은 2014년 쌍용자동차 파업 당시 노동자에게 부과된 사측의 손해배상액 47억원의 판결이 확정되자 시민들이 노란색 봉투에 성금을 담아 전달한 캠페인에서 시작되었다. 대한민국국회(국회의장 우원식)는 8월 24일(일) 제428회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심사해 총 투표수 186표 가운데 찬성 183표, 반대 3표로 가결했다.전날(2
출판저널 편집부08-25 11:07 -
[정윤희의 책문화생태론]AI 시대 출판산업의 가치와 비전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인공지능은 이제 출판의 중심으로 들어오고 있다. 2025년 7월 25일, 26일 이틀간 열린 ‘제2회 지산학연 혁신 포럼’은 AI 시대 출판산업의 가치와 비전을 묻고 방안을 마련하는 자리였다.인문사회와 기술, 법과 산업을 넘나든 이 포럼은 ‘AI 플레이어’라는 새로운 창작 주체와 ‘전자출판 생태계’라는 전략 키워드를 통해 한국 출판의 방향을 가늠하게 했다.전주대학교 HUSS사업단 이용욱 단장은 기조강연에서 “이제 창작자는 단순한 생산자나 소비자가 아니라, 질문하고 편집하며 퍼블리싱까지 주도하는 ‘
출판저널 편집부08-20 12:21 -
[정윤희의 책으로 세상 읽기] 돈으로도 살 수 없는 가치를 알려주신 선생님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학 박사) 스승의 날이 되면 꼭 뵙고 싶은 선생님이 떠오른다. 중학교 때 우리에게 책을 읽어주셨던 담임 선생님이다. 담임 선생님은 생물과목을 가르치셨는데, 생각해 보면 내가 생태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박사논문 주제로 책문화생태계를 연구하기까지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건 분명하다. 지금도 선생님이 나직한 목소리로 책을 읽어주셨던 모습과 목소리가 생생하다. 쉘 실버스타인이 쓴 그림동화 ‘아낌없이 주는 나무’, ‘어디로 갔을까, 나의 한쪽은’ 등을 읽어주셨는데, 지금으로 말하자면 오디오북으로 책을 읽은
출판저널 편집부05-15 11:11 -
[정윤희의 책으로 세상 읽기] 사유화 논란 서울국제도서전, 공공성과 민주적 거버넌스 회복해야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학 박사) 참 살기 어려운 시대이다. 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소득불평등이 심한 국가로 꼽히며, 청년과 노년층, 자영업자 등의 계층 간 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고, 이는 문화 접근성과 참여 기회의 격차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공공성을 지향해야 할 서울국제도서전 사유화에 대한 문제의식과 논란은 단지 출판계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문화적 정의와 민주주의의 수준을 가늠할 척도가 되고 있다. 최근 ‘서울국제도서전 사유화 반대’ 서명 운동에 저자,
출판저널 편집부05-07 11:44 -
[정윤희의 문화민주주의]문화정책의 기초가 되는 책문화생태계
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학 박사) 3월 2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22대 국회의원 총선에 출마하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전체 후보자 952명 중 음주운전, 횡령 등 전과 기록을 가진 후보자는 305명으로 전체의 32.04%에 달했다. 지역구에서는 전체(699명)의 34.62%(242명)가 전과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비례대표 후보 중에서는 전체(253명)의 24.90%(63명)가 전과자였다. 전과 11범 이상된 후보자도 있다.5년 내 세금을 체납한 경력이 있는 후보는 82명으로 전체 후보 등록자의 11.8%나
출판저널 편집부202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