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총 6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메리 커샛, 현대 여성을 그린 화가
“벽화를 그린다고 하니 드가가 불같이 화를 내며 비난을 퍼붓더군요. 나는 더욱 힘이 나서, 무슨 일이 있어도 벽화를 포기하지 않겠다고 말했지요.”- 메리 커샛이 친구 루이진 해브마이어에게 보낸 편지, 1892년1893년은 메리 커샛(카사트)에게 하나의 전환점이었다. 그의 예술이 고향 미국으로 귀환한 해이자 파리에서 성공에 ‘도달’한 해였다. 그해 커샛은 시카고 박람회에 전시된 대형 벽화 '현대 여성'으로 미국 대중 앞에 등장했다.그리고 1893년 11월 파리의 폴 뒤랑뤼엘 갤러리에서 열린 첫 개인전에서 100점이 넘는 작품을 전시했
출판저널 편집부04-21 11:40 -
세상에서 가장 짧은 프랑스사
프랑스를 상징하는 단어는 많다. 자유와 평등, 박애의 나라, 공화국, 민주주의와 인권, 예술과 혁명의 나라, 육각형, 성(城)과 와인, 빛의 도시...이처럼 프랑스는 유럽사를 넘어 세계사 전반에 매우 상징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중심 국가라고 할 수 있다.'세상에서 가장 짧은 프랑스사'는 늘 유럽사의 중심이었던 프랑스의 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다룬 책이다. 인류가 처음 도구를 만들고 동굴 벽화를 남기던 선사 시대부터, 중세 봉건제와 절대왕정의 시기를 거쳐 거센 혁명의 불길이 타오르던 순간들, 나폴레옹의 도전과 실패, 그리고 오늘
출판저널 편집부03-13 11:08 -
꿈꾸는 도서관
전쟁, 이주노동자, 동성애 등 민감한 주제를 다루지만 읽는 내내 참 재미있다는 생각을 갖게 만드는 소설가 나카지마 교코가 일본 근대 도서관 역사의 치밀한 취재를 바탕으로 장편소설 '꿈꾸는 도서관'.이 작품은 일본 최초의 근대 도서관 설립 배경을 둘러싼 서사와 기와코라는 한 여성의 인생사가 교차하다가 마침내 한 곳에서 만난다. 미술관, 동물원, 박물관, 도서관이 있는 우에노공원은 전후 혼돈의 시기 고아, 노숙자, 남창 등 가난한 사람들을 품었다.우리가 몰랐던 우에노공원의 역사를 통해 우리는 전쟁을 겪은 한 사람 한 사람의 고유한 삶을
출판저널 편집부03-13 10:57 -
풍수학자 김두규 교수가 파헤친 한반도 천년 주술 전쟁
최근 몇 년간 대한민국을 둘러싼 주술 논쟁이 뜨겁다. 일상에서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가 궁금해 점 등을 보는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권력층의 국정 운영과 통치 행위에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주술이 개입되었다는 논란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시화시킨 이슈는 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불거진 대통령 집무실 이전 논란이었다. 이러한 의혹은 우리 사회의 혼란을 부추기고 합리적 판단과 질서를 뒤흔들 수 있기에 심각성이 크다. 사실 한반도에서 정치 권력과 주술의 결탁은 그 역사가 깊다. 이에 풍수학자 김두규 교수는 고려시대부터
출판저널 편집부03-04 12:16 -
사회와 경제가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한 완전한 설명
경제는 인간의 다른 활동과 분리된 영역이 아니다. 사회관계에 배태되어 있고, 종교·과학·정치·법처럼 감정과 생각 그리고 제약에도 똑같이 종속되어 있다. 어떤 행동은 잘 규정된 목적을 위해 합리적으로 일하는 사람들처럼 전통적인 경제적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반면, 인간의 많은 행위는 그런 단순한 틀에 맞추기가 어렵다. 행위자들은 이따금 사회 규범의 타당성을 전적으로 믿어 그걸 따르지만, 어떤 때는 의식적인 생각 없이 순응한다. 또 명확한 이유 없이 다른 이들을 믿기도 한다. 개인들이 서로에게 행사하는 권력이 비경제적 원천에서 비롯한
출판저널 편집부02-27 10:13 -
모성, 글쓰기, 그리고 다른 방식의 사랑 이야기
수전 손택, 존 디디온에 비견되며 힘 있는 사유, 깊은 감정, 강렬한 문장으로 동시대 가장 사랑받는 에세이스트로 자리매김한 레슬리 제이미슨의 신작이 출간됐다. 레슬리 제이미슨은 한국에도 소개된 세 권의 전작에서 고통에 관한 글쓰기와 에세이의 윤리를 탐구하고, 자신의 알코올중독과 회복 경험을 낱낱이 탐색하며 특유의 통찰력과 지성, 엄밀하고 성실한 글쓰기로 탄탄한 독자층을 형성해온 작가다.신작에서 제이미슨이 뛰어든 영역은 모성과 싱글맘 되기라는 가장 내밀한 경험에 대한 탐구다.책 전체를 뒤덮고 있는 압도적인 감정은 모성의 양가적 기쁨이
출판저널 편집부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