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손솔의원은 10월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와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리박스쿨에서 추천하고 리박스쿨이 양성한 늘봄학교 강사 양성 교재로 사용되기도 한 도서 2종인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6·25전쟁 이야기'가 전국 초·중·고에 802권, 국립도서관 4곳,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공공도서관 175곳에 비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사편찬위원회는 해당 도서들이 “6·25 전쟁 피해를 축소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일부 왜곡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일부 편집과 왜곡이 있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올해 7월 국회 교육위원회 리박스쿨 청문회에서 해당 도서들의 역사왜곡이 드러나면서 부산, 경남, 울산, 전북, 광주, 전남 교육청은 해당 도서를 폐기하거나 폐기예정에 있는 것에 반해 서울, 경기를 포함한 5개 교육청은 해당 도서를 여전히 비치하고 있으며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중 경기도는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를 239개 학교에서 269권을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6·25전쟁 이야기'를 80개 학교에서 91권을 비치하고 있으며, 서울은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를 116개 학교에서 150권을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6·25전쟁 이야기'를 38개 학교에서 45권을 비치하고 있다.
문체부가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 공공도서관 1,296개(2024년 기준) 중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를 87개 도서관에서,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6·25전쟁 이야기'를 103개 도서관에서 비치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 서울, 경북이 많으며 전북, 제주, 광주는 한 권도 비치하지 않고 있다.
손솔 의원은 문체위 국정감사에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가 리박스쿨 관련 도서를 폐기하거나 열람 제한하는 추세가 확산하고 있음에도 역사 왜곡을 바로잡아야 할 국립도서관은 해당 도서를 비치하고 열람을 제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리박스쿨 도서는 이미 극우 단체의 역사관을 주입하는 교재로 활용된 바 있으며, 교육청과 지자체가 폐기·제한조치를 취하고 있음에도 국립기관이 오히려 이를 보존·열람하도록 하는 것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으며, 국립도서관은 단순히 ‘자료 보존’을 넘어 공공성이 강한 기관으로서 역사 인식의 기준을 제시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손솔 의원은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경기·인천·대구·강원 등 일부 지역은 여전히 학교와 공공도서관에 리박스쿨 도서를 비치하고 열람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미 국회 교육위원회 청문회를 거쳐 역사왜곡과 정치선전 성격이 명확히 드러난 도서를 여전히 학생들이 접하도록 하는 것은 교육 자율성의 문제를 넘어 공공성의 훼손이다. 교육청과 지자체는 학내외 교육자료의 검증과 관리기준을 통일적으로 마련해야 하며, 중앙정부의 책임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문체부는 출판·유통·공공도서관을 모두 관리·감독하는 주무부처로서, 각 기관의 자율에 맡길 것이 아니라 역사 도서의 공공도서관 비치 기준을 명확히 하고, 이미 문제가 확인된 도서에 대해서는 국립도서관에서 우선 폐기 및 열람제한 조치를 취하도록 지침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