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민형배 국회의원(광주 광산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6년간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은도서관 휴·폐관 사례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
민형배 의원실에 따르면, 전국 작은도서관 현황은 2019년 전체 6,672곳 중 648곳(9.7%)이 휴·폐관 상태였으나, 2024년 6,830곳 중 1,440곳(21.1%)이 문을 닫아 5년 만에 작은도서관 폐관이 두 배 이상 늘었다.
지역별로는 폐관된 작은도서관 전체 221곳 중 대전의 21곳(9.5%)이 문을 닫아 폐관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세종(6.1%), 광주(5.9%), 경기(5.4%) 순이다.
반면 도서관 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작은도서관 이용객 수는 증가하고 있다. 2020년 2,198만명에서 2024년에는 3,247만명으로 연간 1,000만명 이상 작은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민형배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2024년 독서·서점·도서관·출판 예산을 대폭 삭감하였고, 이러한 결과 작은도서관 휴·폐관 사태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지적·문화적·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으로서 도서관의 미래 가치를 고려해 문체부는 다각적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