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노벨문학상으로 헝가리 작가 라슬로 크라스나호르카이(László Krasznahorkai)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한림원은 10월 9일(현지시간) “그의 작품은 종말적 공포 한가운데에서도 예술의 힘을 재확인하게 하는 강렬하고 비전적인 문학 세계를 보여준다”며 수상 이유를 밝혔다.
크라스나호르카이는 1954년 헝가리 남부의 제르에서 태어나 부다페스트 대학에서 법학과 문학을 공부했다.
1985년 장편소설 『사탄탱고(Sátántangó)』로 문단에 데뷔한 그는, 이후 『세이보르그의 멸망(The Melancholy of Resistance)』, 『전쟁과 전쟁(War and War)』, 『바렌츠의 종말(The Last Wolf)』 등으로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했다.
그의 문체는 길고 복잡한 문장 구조와 불안, 파멸, 구원의 문제를 탐구하는 철학적 서사로 유명하다. 평론가들은 “크라스나호르카이의 문장은 한 문장으로 한 세상을 담는다”고 평하며, 현대 유럽문학의 거장 중 한 명으로 꼽아왔다.
이번 수상으로 크라스나호르카이는 헝가리 출신으로는 2002년 이머레 케르테스(Imre Kertész)에 이어 두 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됐다.
한림원은 “그의 작품은 인간 존재의 불안과 문명의 종말적 상황을 그리면서도, 언어와 예술이 여전히 인간의 구원 수단임을 증명한다”고 평가했다.
수상 발표 직후 크라스나호르카이는 “이 상은 나 개인의 영광이 아니라, 문학이 여전히 세상과 대화할 수 있다는 증거”라며 “모든 작가와 독자들에게 헌정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는 세계 문학계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다.
영국 '가디언(The Guardian)'은 그를 “세기말적 절망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을 탐색한 종말의 시인”이라 평가했고, '로이터(Reuters)'는 “그의 문장은 읽는 이를 몰입시키는 문학적 의식의 흐름”이라고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