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출판문화협회는 10월 11일 제39회 책의날을 기념한 한국출판공로상 특별공로상 수상자로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씨를 선정했다.

선정사유는 학문의 자유와 언론 출판의 자유를 지켜내는게 헌신했다는 내용이다.

'제국의 위안부'는 일제강점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책으로, 출간 이후 표현 방식과 역사적 해석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지속돼 왔다.

MBC 보도(25년 9월 30일 뉴스데스크)에 따르면, 책에는 “위안부는 매춘”이라는 표현, “위안부와 일본군은 동지적 관계였다”는 주장, 그리고 “강제 연행이란 국가폭력이 행해진 적이 없다”는 식의 문장이 포함되어 있었다. 2015년 법원의 삭제 명령을 받은 바 있으며, 피해자 9명이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던 사건은 하급심을 거쳐 최종 무죄 판결로 확정됐다.

뿌리와이파리에서 2016년에 출간된 박유하 씨의 책 '제국의 위안부'.  출판사는 이 책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2013년 8월에 출간된  '제국의 위안부' 초판본에서 ‘도서출판 등 금지’ 가처분신청 ‘일부 인용’ 결정에 따라 34곳을 빈칸으로 처리하고, 저자의 새 서문과 2015년 5월 5일 공표된 세계 일본연구자들의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성명’ 등을 부록으로 실은 제2판(34곳 삭제판)이다.
뿌리와이파리에서 2016년에 출간된 박유하 씨의 책 '제국의 위안부'.  출판사는 이 책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2013년 8월에 출간된  '제국의 위안부' 초판본에서 ‘도서출판 등 금지’ 가처분신청 ‘일부 인용’ 결정에 따라 34곳을 빈칸으로 처리하고, 저자의 새 서문과 2015년 5월 5일 공표된 세계 일본연구자들의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성명’ 등을 부록으로 실은 제2판(34곳 삭제판)이다.

정의기억연대는 9월 30일 “표현의 자유라는 이름이 피해자를 모욕하고 역사를 부정하는 행위의 확산을 돕는 결과가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박유하 교수는 ‘제국의 위안부’에서 일본국이 아시아 전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자행한 일본군성노예제도라는 국가범죄에 대해, ‘동지적 관계’ 운운하고 강제연행은 없었다는 등의 허위 사실을 내세우며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는 데 앞장선 문제적인 책이다. 2015년 나눔의 집에 거주하시던 피해자들이 참을 수 없는 분노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바 있다. 법리적 해석으로 인해 현실의 법정에서는 최종 무죄를 받았다 해도, 있는 역사를 부정하고 피해자들의 마음에 대못을 박은 것까지 무죄일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손솔 국회 문체위 위원(진보당)은 “박유하 교수는 학문의 영역 뒤에 숨어 공공연히 역사를 왜곡했다, 일제의 강제동원 역사를 부정하고 위안부 선생님들의 명예를 훼손했다, 대한출판문화협회는 박유하 교수의 특별공로상 수여를 취소하라”는 성명서를 냈다.

곽미순 대한출판문화협회 부회장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심사위원회 안에서 논란은 있었지만 11년간 법정에서 출판과 표현의 자유를 위해 싸워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면서 “광복 80주년과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이 책에 대해 더 활발히 공론화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책의 날(10월 11일)을 기념해 2025년 10월 13일에 열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 출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