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2026년도 정부 예산안을 약 7조 8천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

이는 2025년보다 10.3% 늘어난 수준으로, ‘케이(K)-컬처 300조 원 시대’ 개막을 위한 전략적 투자와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체부는 이번 예산안을 통해 콘텐츠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동시에, 문화예술 창작 및 복지 지원, 국민 생활체육과 관광 인프라 확충 등 주요 정책 과제를 균형 있게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
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는 콘텐츠산업 예산을 1조 6,103억 원으로 책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26.5% 증가한 규모로, K-팝·드라마·영화·출판·게임 등 핵심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AI·메타버스 등 신기술 기반 차세대 콘텐츠 육성에도 집중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K-스토리 IP 확산과 세계 시장 진출 가속화를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문화예술 분야 예산은 2조 6,388억 원으로 확정됐다. 지난해보다 2,564억 원 증가한 것으로, 예술인 창작 환경 개선과 복지 제도 확대, 지역 기반 문화 향유 확대가 주요 내용이다. 공연장·도서관·미술관 등 문화 인프라 확충을 통해 국민의 일상 속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 사회적 약자에게도 문화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관광 분야에는 1조 4,740억 원이 배정돼 전년 대비 9.4% 증가했다. 스마트 관광지 조성, 국제 MICE 산업 육성, 친환경 관광 인프라 확충 등이 포함된다.

체육 분야는 1조 6,795억 원으로 생활체육 저변 확대, 전문선수 육성, 스포츠 인권·안전 강화 정책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케이팝데몬헌터스 포스터(이미지=네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계인에게 ‘케이-컬처’가 얼마나 매력적인 소재인지를 증명한 만큼, 문화체육관광부는 수준 높은 ‘케이-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기반시설(인프라)·자금 등 콘텐츠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
케이팝데몬헌터스 포스터(이미지=네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계인에게 ‘케이-컬처’가 얼마나 매력적인 소재인지를 증명한 만큼, 문화체육관광부는 수준 높은 ‘케이-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기반시설(인프라)·자금 등 콘텐츠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

 

문체부는 이번 예산안을 통해 “K-컬처가 세계 시장에서 300조 원 규모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콘텐츠 수출 확대, 예술 창작 지원, 국민 문화 향유권 확대, 관광·스포츠 활성화 등 네 축을 전략적으로 추진한다. 

예산안은 국회 심의·의결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되며, 확정 시 K-컬처 글로벌 확산과 국민 문화권 보장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출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