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화평론가)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대학교 리버 캠퍼스 도서관은 오는 9월 28일부터 30일까지 ‘디자이닝 라이브러리 XII(Designing Libraries XII)’를 개최한다.

2012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에서 시작된 이 학술행사는 북미 주요 대학을 순회하며 열려왔으며, 도서관 공간 설계와 학습 환경 혁신을 주제로 사서, 건축가, 기획자, 디자이너, 정보기술 전문가들이 모여 21세기 도서관의 성과와 과제를 공유하는 자리로 발전해왔다.

2023년에는 UBC에서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 참여를 논의했고, 2024년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에서 기술혁신과 하이브리드 학습 환경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올해 제12회는 로체스터대학교가 지난 10여 년간 추진해 온 ‘전략적 공간 계획(Strategic Space Plan)’의 성과를 중심으로, 러시 리스 도서관과 칼슨 과학·공학 도서관의 공간 혁신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행사는 28일 사전회의로 시작된다. 오전 세션인 'Designing With, Not For: Igniting Human-Centered Design to Reimagine Library Spaces'에서는 수잔 호프만(University of Rochester), 야스민 매톡스(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사만다 모나한(University of Rochester), 케이시 류(University of Rochester)가 발표하고 메그 무디(University of Rochester)가 사회를 맡는다.

28일 오후 세션 'Cultivating Commitment: Fundraising for Library Spaces'에서는 바바라 J. 버거(University of Rochester Trustee), 낸시 쿠이발라(University of Rochester Advancement), 에반스 램(University of Rochester Trustee), 존 립핀콧(Lippincott Consulting), 메리 앤 매브리낙(Vice Provost & Dean, River Campus Libraries), R. 스콧 라스무센(University of Rochester), 닐 로마노스키(Dean, Syracuse University Libraries)가 기금 마련 전략을 논의한다.

29~30일 본회의의 기조연설은 앤드루 프론티니(Perkins&Will, Toronto)가 'Episodes in Public Architecture: A Candid Reflection'을 주제로 진행한다.

주요 세션에는 켈리 E. 밀러(University of Miami), 마리사 넴칙(University of Miami)이 참여하는 'Supporting Student Wellbeing and Neurodiversity through Design and Programming', 마거릿 설리번(Margaret Sullivan Studio)이 발표하는 'The Public Library as Cultural and Technological Landmark: The Omaha Public Library', 사라 C. 망겔스도르프(총장, University of Rochester), 로버트 노블렛(Shepley Bulfinch Architects), 모리니 스트럽(University of Rochester)이 참여하는 'Libraries as Nodes of Connection', 사프다르 아비디(Shepley Bulfinch), 주드 도블(Shepley Bulfinch), 메리 앤 매브리낙(University of Rochester), 모리스 요크(University of Michigan Libraries)가 발표하는 'Strategic Master Space Planning: A Roadmap for the Future'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안드레아 팔콘(Binghamton University Libraries)의 'From Collections to Connections', 메그 무디, 에밀리 셔우드, 니콜라스 V. 바미바카스(University of Rochester)가 함께하는 'From Concept to Catalyst: The Evolution of Studio X', 엘리엇 펠릭스(brightspot strategy)의 'Reconceptualizing Staff Spaces in Libraries and Higher Education', 데니즈 센기즈, 타무다 침핸다, 메그 무디(University of Rochester), 데이비드 우드버리(NC State University Libraries)가 참여하는 'Students at the Center: Sustainable Staffing Models for Experiential Learning' 세션이 이어진다.

디자이닝 라이브러리 XII는 도서관이 단순한 자료 보관소를 넘어 학습과 연구, 협업의 허브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학술 교류의 장이다.

학술도서관과 공공도서관 관계자, 건축·디자인 전문가, 기부 및 펀딩 관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도서관의 미래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 등록과 프로그램 세부 내용은 공식 웹사이트(https://www.library.rochester.edu/designinglibraries/program)에서 확인할 수 있다.

library.rochester.edu 홈페이지 화면
library.rochester.edu 홈페이지 화면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화평론가로 칼럼을 쓰고 있으며, 책문화생태학자로서 지속가능한 책문화생태계를 연구하고 확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언론학 전공으로 언론학 석사, 문화콘텐츠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12기 국회입법지원위원, 경기도광역도서관위원회 위원, 한국출판학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책문화생태론', '문화민주주의 실천과 가능성', '생태적 글쓰기를 하는 마음' 등이 있다.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 문화평론가로 칼럼을 쓰고 있으며, 책문화생태학자로서 지속가능한 책문화생태계를 연구하고 확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언론학 전공으로 언론학 석사, 문화콘텐츠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12기 국회입법지원위원, 경기도광역도서관위원회 위원, 한국출판학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책문화생태론', '문화민주주의 실천과 가능성', '생태적 글쓰기를 하는 마음'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출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